업종 전환, 브랜드 리뉴얼 통해 글로벌 시장 확장
리만코리아의 다단계판매 업종 전환은 작년 말, 업계를 떠들썩하게 만든 이슈였다.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과 같은 굴지의 대기업을 제치고 후원방문판매업체 매출 1위를 달성하기도 했던 리만코리아의 이 같은 행보에 모두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이유다. 2025년 리만코리아는 대대적인 브랜드 리뉴얼을 단행하는 등 글로벌 시장을 향해 뻗어갈 새로운 리만코리아를 준비하고 있다.
에디터 _ 정해미
글로벌 통합 비즈니스 모델로 글로벌 시장 공략
리만코리아는 2018년 후원방문판매업체로 등록한 후 비약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2021~2022년 매출액 순위 1위를 기록하는 등 대기업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상위 기업으로 자리 잡았다. 그동안 한국에서는 후원방문판매 형태로 운영되어 왔지만 북미, 대만, 홍콩 등 해외 지사는 모두 다단계판매 방식으로 영업을 이어왔다. 이 같은 불편함을 없애고, 통합된 비즈니스 모델에 기반하여 K-뷰티를 대변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지난해 11월, 다단계판매업체로 업종을 변경했으며 올해부터 본격적인 영업을 시작한다.
이번 전환의 목적은 글로벌 통합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한국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으로도 사업영역을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것이 리만코리아 관계자의 설명이다.
리만코리아가 후원방문판매에서 다단계판매로 전환함에 따라 후원방문판매 시장의 전체 매출은 1조 원대로 축소될 전망이다. 하지만 다단계판매업계 관계자들은 리만코리아의 다단계판매 전환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약 44만 명에 이르는 리만코리아의 판매원들이 업계로 유입되면 이들의 인맥을 통해 다단계판매의 지평이 넓어지며 이를 통해 시장 규모가 확대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올 뉴 인셀덤’ 대대적인 브랜드 리뉴얼
새로운 출발을 준비하며 리만코리아의 대표 브랜드에 대한 전반적인 리뉴얼도 단행했다. 자사의 대표 브랜드인 ‘인셀덤’, ‘보타랩’, ‘라이프닝’ 전 제품의 효능과 디자인을 강화해 리뉴얼 출시한 것.
이번 리뉴얼은 세계적인 기업들과의 협업으로 더욱 빛났다. 세계적인 디자인 컨설팅 회사인 ‘팬타그램’은 리만코리아의 브랜드 헤리티지 원료이자 청정 자원인 자이언트 병풀과 용암 해수를 표현하기 위해 산뜻한 컬러감의 ‘그리니쉬 아이보리’를 선택하고, 브랜드 로고는 ‘ICD’를 재구성해 코스메슈티컬 브랜드의 정체성과 프리미엄 이미지를 살렸다. 또 프랑스 향수 장인으로 불리는 프레데릭 뷔르텡(Frederic Burtin)이 개발할 시그니처 향을 전 제품에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인셀덤이 직접 개발한 독점 원료인 자이언트 병풀은 수많은 시도를 통해 이전 세대를 완전히 뒤엎을 우월함을 창조해냈다. 품종 연구부터 재배, 수확, 그리고 화장품으로 탄생하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진정성과 전문성을 담아 완성시켰다. 특히 최적의 조건을 갖춘 리만 스마트팜에서 재배한 100% 국내산 자이언트 병풀만을 사용해 효능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비건 뷰티 브랜드 ‘보타랩’의 헤어케어 제품에는 모발 성장 및 두피 보호 효능이 뛰어난 ‘데저티콜라 플러스’ 성분을 함유했다. ‘데저티콜라 플러스’는 기존 대비 유효 성분 함량을 증가시켜 효능, 효과를 더욱 업그레이드 했으며, 야생 올리브 스템셀, 보타닉 너리싱 오일 등 모발에 윤기와 영양감을 선사하는 성분을 신규 적용시켰다. 바디케어 제품에는 피부 보습과 장벽 케어에 도움을 주는 ‘자이언트병풀아미노산’ 성분을 추가했다. 패키지 역시 비건 뷰티 브랜드로서 클린 뷰티 무드를 담은 투명감 있는 톤앤매너의 패키지로 전면 변경되었다.
지역 상생에도 힘 보태…
리만코리아는 제주 지역의 발전에도 앞장서고 있다. 리만코리아의 계열사인 ㈜에스크베이스(대표이사 이태희)는 지난 12월 30일 제주특별자치도지사 훈격의 ‘제주 바이오산업 발전 유공자 표창’을 수상했다. 이 상은 제주특별자치도의 바이오산업 육성과 도내 바이오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자를 발굴해 표창함으로써, 그들의 노고를 격려하고 영예와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에스크베이스는 제주시 구좌읍 행원리에 4,500평 규모의 세계 최초 병풀 스마트팜을 건설하여 지역특화자원인 ‘제주용암해수’를 활용한 원료 연구개발에 앞장서고, 지역 인재 채용과 제주도 관광활성화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2024년 대한민국 지방지킴 대상 ‘일자리 기여대상’을 수상한 바도 있다. 이 밖에도 제주대학교와 협력해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R&D) 정부 과제를 수행하고, 롱제비티 산업 분야의 선도적 연구체계 구축을 위한 MOU를 체결했으며, 제주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취업 연계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하였다.
에스크베이스 관계자는 기술 혁신과 제주 지역 상생을 목적으로 한 리만코리아의 이같은 활동들을 통해 앞으로 제주의 바이오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